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왜 요즘은 예고편보다 숏폼이 먼저 바이럴 될까?

by 신리뷰 2025. 4. 2.
예고편 및 숏폼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한때 영화의 흥행을 가르는 가장 중요한 키는 ‘예고편’이었습니다.
길게는 2~3분, 짧게는 1분짜리 예고편이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예고편을 보기 위해 유튜브를 찾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좀 다릅니다.

정식 예고편이 공개되기도 전, 숏폼 영상 하나가 더 많은 주목을 받습니다.
영화 속 한 장면, 배우의 대사 하나, 혹은 음악 한 줄이 틱톡과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를 통해 퍼져 나가며
바이럴 중심축이 예고편에서 ‘감정의 조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입니다.
 
왜 이런 변화가 일어났을까요? 영상 제작자로서, 또 영화를 즐기는 관객의 입장에서 그 이유를 천천히 들여다보고 볼께요.

1. ‘스토리’보다 ‘감정’이 먼저 닿는 시대

예고편은 스토리를 압축해서 보여줍니다.
누가 주인공이고, 어떤 사건이 벌어지고, 어떤 갈등이 전개될지를 정해진 시간 안에 정리해야 하죠.
하지만 숏폼 콘텐츠는 전혀 다릅니다.

  • 맥락 없이 배우의 ‘울컥한 표정’만 클로즈업되거나,
  • 대사 한 줄만 뚝 떨어지듯 자막과 함께 재생되거나,
  • 음악의 절정 부분만 감정을 끌어올리는 형태로 구성됩니다.

이 짧은 영상 안에는 줄거리도, 인물 설명도 없습니다. 하지만 감정은 정확히 전달됩니다.
 
📌 요즘 관객은 영화 전체를 보기에 앞서, “내가 이 감정에 끌리는지”를 먼저 판단합니다. 숏폼은 그 감정 한 조각을 빠르게, 직접적으로 건네는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
 
저도 유튜브 제작을 하다 보면, 스토리를 설명하는 영상보다 짧은 컷 하나, 감정이 응축된 장면이 더 많은 반응을 얻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젠 이야기를 설명하는 게 아니라 ‘느낌’을 먼저 보여줘야 할 시대라는 생각이 들어요.

2. 숏폼은 ‘감정 편집’의 시대를 열었다

전통적인 편집은 논리적 흐름을 따라갑니다.

  • 기승전결 구조,
  • 인물 소개 → 갈등 → 클라이맥스,
  • 서사 중심의 컷 구성.

하지만 숏폼은 감정 중심의 편집입니다.

  • 상황을 모르더라도 분위기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들고,
  • 배경음악, 자막, 표정 클로즈업 등으로 감정을 증폭시킵니다.
  • 때로는 영상보다 자막이 더 많은 이야기를 하기도 하죠.

📌 숏폼의 편집은 “이 장면은 무슨 장면일까?”가 아니라, “이 장면은 어떤 기분이지?”에 집중합니다.
 
이런 방식은 영화를 감각적으로 소비하게 만들고, 심지어 원작을 모르는 사람에게도 궁금증을 자극합니다.

“저 대사가 나오는 장면이 뭔지 보고 싶다”, “이 분위기 뭐야, 궁금하다.”결국 영화 전체로 이어지는 유입입니다.
 
저는 요즘 숏폼 콘텐츠 편집할 때 감정을 먼저 구성해요. 편집 타임라인에 ‘분위기’를 기준으로 자르고 붙이는 게 익숙해졌죠. 이게 꼭 SNS만이 아니라, 영화 티징 콘텐츠에도 완전히 들어맞는 흐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3. 예고편은 정보, 숏폼은 경험이 되다

예고편은 정해진 틀이 있습니다. 등장인물, 스토리라인, 긴장감, 반전까지 정형화된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숏폼은 정보가 아닌 경험입니다.

  1. 영화를 보는 듯한 감각,
  2. 감정선을 훔쳐가는 분위기,
  3. 때로는 공감 혹은 해석까지 유도

이 때문에 요즘은 📱 "영화 제목을 몰라도 숏폼 영상으로 알게 됐다" 는 댓글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숏폼은 이제 영화 마케팅의 ‘입구컷’이 되었고, 그 안에서 관객은 짧은 경험을 통해 영화 전체에 대한 호기심을 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판타지 영화들도 이젠 티저보다 배우 표정 한 컷, 음악 한 구절, 공기감 하나로 전해지는 숏폼에서 먼저 마음이 움직일 때가 많아요. 감정은 논리보다 빠르다는 걸 실감하는 순간이죠.

🔔 결론: 영화 마케팅은 감정을 먼저 던져야 하는 시대

지금은 줄거리 중심에서 감정 중심의 영상 소비 시대로 넘어온 시점입니다. 사람들은 이야기를 다 듣기 전에 ‘끌리는 감정’이 먼저 다가와야 그 이야기를 끝까지 따라갑니다.
 
그리고 그 감정을 가장 빠르게, 가장 명확하게 전달하는 매체가 바로 숏폼 영상입니다.

SNS 기반 숏폼은 더 이상 부가 콘텐츠가 아닙니다.

이제는 관객의 첫 감정을 자극하는 입구이자, 극장으로 향하는 첫 관문이 되었습니다.
 
영상 제작자로서, 그리고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이 변화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새로운 감정의 문법’이라고 느낍니다. 그 문법을 잘 읽는 콘텐츠가 결국 마음을 움직이고, 기억에 남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는 거겠죠.
 
🎬 당신이 마지막으로 저장한 숏폼 영상은 어떤 감정을 담고 있었나요?
그 감정은 결국, 하나의 이야기로 이어졌을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