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 CG(컴퓨터 그래픽) 기술은 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엄청난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90년대에는 CG가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았고, 2020년대에는 실사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정교해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90년대와 2020년대의 CG 기술을 비교하며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살펴보겠습니다.
90년대 CG 기술, 혁신의 시작
90년대는 CG 기술이 본격적으로 영화에 도입된 시기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쥬라기 공원(1993)이 있습니다. 이 영화는 실물 모형(애니매트로닉스)과 CG를 혼합하여 공룡을 표현했으며, 당시 기준으로 매우 현실적인 그래픽을 구현했습니다.
또한, 터미네이터 2(1991)에서는 최초로 액체 금속 형태의 CG 캐릭터(T-1000)가 등장했습니다. 이 기술은 ILM(Industrial Light & Magic)에서 개발했으며, 이후 여러 영화에서 응용되었습니다.
90년대의 CG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이었지만, 지금 보면 부자연스러운 면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토이 스토리(1995)는 최초의 풀 CG 애니메이션 영화였지만, 인물들의 표정과 피부 질감이 다소 어색했습니다.
이 시기의 CG는 주로 특정 장면에서만 사용되었고, 실사 촬영과 완벽하게 어우러지는 경우는 드물었습니다. 그러나 매트릭스(1999)에서 볼 수 있듯이, CG와 실사 촬영을 결합하는 시도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대 CG 기술, 실사와의 경계 허물기
2020년대에 들어서면서 CG 기술은 더욱 정교해졌습니다. 이제 CG는 영화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실사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연스러워졌습니다.
예를 들어 라이온 킹(2019)은 전면 CG로 제작되었지만, 관객들은 실제 동물 촬영과 혼동할 정도로 정교한 그래픽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아바타: 물의 길(2022)에서는 모션 캡처 기술이 발전하여 배우들의 섬세한 표정 연기까지 CG로 완벽하게 재현되었습니다.
2020년대에는 딥페이크와 AI 기술을 활용한 CG가 영화 제작에 도입되었습니다. 아이리시맨(2019)에서는 로버트 드 니로와 알 파치노의 젊은 시절을 CG로 재현했으며, 스타워즈: 로그 원(2016)에서는 이미 고인이 된 배우 피터 커싱의 얼굴을 CG로 복원했습니다.
또한, 실사와 CG를 결합하는 방식도 한층 발전했습니다. 듄(2021)에서는 광활한 사막과 거대한 샌드웜을 CG로 구현하면서도, 실제 촬영 기법과 섞어 자연스러운 화면을 연출했습니다.
90년대 vs 2020년대, CG 기술의 차이점
90년대와 2020년대 CG 기술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연스러움과 활용 범위입니다.
- 비주얼 퀄리티: 90년대는 CG가 도입된 초기로, 화면에서 CG 티가 나는 경우가 많았음. 2020년대는 물리적 질감과 빛 반사를 정밀하게 계산하여 실사와 구별하기 어려움.
- 캐릭터 표현: 90년대는 단순한 모델링과 애니메이션, 어색한 표정 연기. 2020년대는 AI 기반 모션 캡처 기술을 활용한 자연스러운 얼굴 연기.
- CG 사용 방식: 90년대는 특정 장면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 2020년대는 영화 전체를 CG로 제작하거나, CG를 실사처럼 활용.
- 기술적 한계: 90년대는 연산 능력이 부족해 CG 처리 시간이 오래 걸렸고, 디테일이 떨어짐. 2020년대는 실시간 렌더링 기술이 발전하여 CG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훨씬 세밀한 표현 가능.
90년대에는 CG가 새로운 시도였던 반면, 2020년대에는 CG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결론
9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CG 기술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과거에는 한정된 장면에서만 CG가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영화 전체를 CG로 제작할 정도로 기술이 정교해졌습니다. 앞으로 AI와 실시간 렌더링 기술이 발전하면서, CG가 영화 제작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