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6

픽사, 디즈니와 다르다는 걸 증명할 수 있을까? 픽사, 디즈니와 다르다는 걸 증명할 수 있을까? 한때 픽사는 디즈니와는 전혀 다른 감성의 스튜디오로 여겨졌다. 3D 애니메이션을 개척했고, 기술이 아닌 이야기로 관객을 울렸으며, 단순한 동화를 넘어 삶의 본질을 묻는 질문을 던졌다. “픽사 영화는 무조건 믿고 본다”는 말이 생겨난 것도 이 시기였다. 하지만 2006년 디즈니에 인수된 이후부터, 이 두 브랜드의 콘텐츠는 점차 비슷해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과연 지금의 픽사는 디즈니와 다른 스튜디오로 남아 있을 수 있을까? 브랜드란 단순한 로고나 제작사가 아니다. 그것은 관객이 그 이름에서 기대하는 감정, 스타일, 메시지의 집합이다. 그리고 지금, 관객은 픽사의 이름에서 과거만큼의 ‘다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그림체, 스토리 구조, 감정 .. 2025. 5. 8.
한국에서 픽사가 특별히 잘 되는 이유는? 한국에서 픽사가 특별히 잘 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픽사 애니메이션이지만, 그중에서도 한국 관객의 반응은 유독 특별하다. 단순히 흥행 수치만을 놓고 봐도, 미국보다 한국에서 더 큰 반전을 기록한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엘리멘탈’은 미국 박스오피스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기록했지만, 한국에서는 관객수 700만을 돌파하며 이례적인 흥행곡선을 그렸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픽사의 감성 코드가 한국 사회의 문화적 정서와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코코’의 가족 중심 이야기, ‘소울’의 존재론적 고민, ‘루카’의 외로움과 수용의 서사, ‘엘리멘탈’의 이민자 감성까지. 이들 작품이 공통적으로 지닌 정서는 바로 “관계 속에서 자신을 찾는 감정의 여정”이다. 그리고 .. 2025. 5. 8.
픽사의 감성 공식은 여전히 유효한가? 픽사의 감성 공식은 여전히 유효한가? “픽사 애니메이션은 무조건 울린다.” 한동안 이 말은 진리처럼 받아들여졌다.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이션임에도 불구하고, 픽사는 어른의 마음을 더 깊이 파고들며 ‘감정의 스튜디오’라는 별칭을 얻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런 감정 공식이 관객에게 예전만큼의 감동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도 늘고 있다. 과연 픽사의 감성은 여전히 유효한가, 아니면 너무 익숙해져버린 감정의 반복일까? 픽사의 감정 서사는 분명 독보적이다. 대표작 ‘토이 스토리’, ‘업’, ‘인사이드 아웃’, ‘코코’는 상실, 성장, 기억, 가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객의 감정을 섬세하게 자극해왔다. 단순한 재미가 아닌, 내면적 울림을 남기는 이야기. 이게 바로 픽사가 다른 스튜디오와 구분되는 핵심이자 정체.. 2025. 5. 7.
엘리멘탈의 흥행 반전, 한국 관객만 특별했던 이유는? 엘리멘탈의 흥행 반전, 한국 관객만 특별했던 이유는? 2023년, 픽사 애니메이션 ‘엘리멘탈(Elemental)’은 예상과 다른 이중적인 반응을 끌어냈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는 흥행 실패작으로 평가받으며 박스오피스 초반 성적이 저조했고, ‘픽사 위기론’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그런데 유독 한국에서만은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영화는 개봉 초반에는 미미한 주목을 받았지만, 입소문을 타면서 역주행 흥행에 성공했고, 장기 상영을 통해 700만 관객을 넘겼다. 이는 단순한 지역 차원의 데이터가 아니라, 픽사의 콘텐츠가 문화적 맥락에 따라 얼마나 다르게 소비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엘리멘탈은 불, 물, 공기, 흙이라는 네 원소가 존재하는 가상의 도시에서, 불 원소 소녀 엠버와 물 원소 소년 웨이.. 2025. 5. 6.
마블 팬덤의 변화, 10년 전과 지금은 뭐가 다를까 마블 팬덤의 변화, 10년 전과 지금은 뭐가 다를까 한때 마블 영화가 개봉만 하면 ‘문화 현상’이 되었던 시절이 있었다. 수많은 관객이 극장에 모여 예매 전쟁을 벌였고, 영화의 엔딩 크레딧이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키며 쿠키 영상을 기다렸다. 2008년 아이언맨부터 2019년 엔드게임까지 이어지는 여정은 단순한 프랜차이즈 성공이 아니라, 팬과의 정서적 동맹이라 불릴 만한 서사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때와 많이 달라졌다. MCU는 여전히 세계 최대의 시네마틱 유니버스이지만, 팬덤의 온도는 확연히 식었다. 관심은 있지만 열광은 줄었고, 기대보다는 계산이 앞서는 소비가 주를 이룬다. 팬덤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성격은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과연 어떤 변화가 있었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할까?예전 팬은 ‘동료’였고.. 2025. 5. 5.
할리우드 파업 이후, 마블은 어떻게 달라졌나 할리우드 파업 이후, 마블은 어떻게 달라졌나 2023년, 할리우드에 일어난 작가 및 배우 조합의 파업은 미국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반에 충격을 안겼다. WGA(전미 작가조합)와 SAG-AFTRA(영화배우조합)가 동시에 파업에 나서면서, 수많은 영화와 시리즈의 제작이 중단되었다. 그 여파는 마블 스튜디오에도 직접적으로 전달됐다. 세계 최대 규모의 유니버스 세계관을 운영하고 있는 마블조차 이 거대한 흐름에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번 파업은 단순한 임금 협상이나 계약 조건 문제에 그치지 않았다. 핵심에는 AI 도입, 스트리밍 수익 분배, 고용 안정성 같은 구조적 이슈들이 있었다. 특히 작가들은 AI가 각본 초안을 대체하거나, 창작자의 노동을 ‘보완재’로 취급하는 방향에 강하게 반발했다. 마블처럼 대규모 자본이.. 2025. 5. 5.